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바스크립트를 활성화해주세요. 자바스크립트가 활성화 되지 않을경우 홈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확대
축소
100%보기
인쇄
경상북도 통합검색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이용안내
경북소방본부 인스타그램
경북소방본부 유투브채널
경북소방본부 페이스북
경상북도 소방본부
민원안내
건축
위험물
다중이용업
소방시설업
소방안전관리자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질의응답
소방신문고
소방인권보호센터
불법행위신고센터
이동안전체험교육신청
119아이행복돌봄터
안전보건 정책제안
알림홍보마당
공지사항
일일재난통계
소방뉴스
채용정보
다중이용업소 법령위반공개
설계공모
울릉소방서 신축
산북119안전센터 신축
용황119안전센터 신축
교육.영상자료
소방활동정보
화재통계
구조통계
구급통계
신고접수통계
카드뉴스
안전안심정보
119신고안내
화재행동요령
응급상황
일상생활사고
자연재해
경북소방소개
본부장인사말
소방관서현황
의용소방대
협력단체
소방상징
경북소방연혁
찾아오시는길
조직도
분야별정보
주요정책
주요업무추진현황
자료실
법령정보
사이트맵
119신고안내
아름다운 역사와 문화를 훌륭히 보존하고 복잡 다양해지는 현대사회의 새로운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300만 도민에게 감동을 주는 소방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메인페이지
안전안심정보
민원안내
참여마당
알림홍보마당
안전안심정보
경북소방소개
분야별정보
119신고안내
119신고안내
화재행동요령
응급상황
일상생활사고
자연재해
불이야!화재발생시 이렇게 신고하세요.
화재를 신고하는 방법
소방서(119)에 전화를 걸어 화재를 신고한다.
신고 내용
- 신고자 이름
- 화재 발생장소(주소나 주변의 큰 건물 이름 등)
- 무엇이 타는지, 어디에서 타는지 ……
소방대원이 먼저 전화를 끊을 때까지 전화를 끊지 않는다.
공중전화의 경우 빨간색 긴급통화 버튼을 누르면 돈을 넣지 않아도 긴급신고(119, 112)가 가능하다.
휴대전화는 사용 제한된 전화나 개통이 안 된 전화도 긴급신고가 가능하다.
장난전화를 하지 않는다.(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긴급 신고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방법
- 전화 119
- 인터넷
www.119.go.kr
- 휴대전화기(문자포함) 119
※ 119는 화재 신고는 물론 인명 구조, 응급환자 이송 등을 요청하는 번호이다.
낯선곳에서 위치찾는 방법
바로가기
서비스
소방
신문고
소방안전
신고센터
소방인권
보호센터
국가재난
정보센터
국민안전
방송
재난배상
책임보험
기상청
동네예보
안전보건
정책제안
TOP